열기
타고난 것인지 교육의 영향인진 모르지만, 나는 나의 창작물이나 작업물을 타인에게 보이게 될 때면 상당한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그런 류의 두려움에 대해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게 초등학교 때의 일기 쓰기인데, 내가 일기를 쓰면 1차로 부모님이 읽고 품평을 해주셨고, 다음날 학교에 가져가서 선생님께 제출하면 2차 품평이 기다리고 있었다. 그때부터 나는 일기조차도 나의 솔직한 생각을 적기보단 예쁘게 꾸며지고 가꿔진 완성도 있는 글을 써야 한다는 강박을 가졌다. 그렇게 1년쯤 일기를 쓴 뒤에 담임 선생님이 내 글솜씨가 출중하다며 출판사에 연락을 해 보았다고 하는데 출판사는 어린이의 글 같지 않다는 이유로 거절했다고 한다.
당연한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세상에 잘 쓴 글이야 차고 넘치는데 잘 쓴 글을 읽으려는 사람이 굳이 초등학교 2학년 전준수의 일기 쪼가리를 볼 필요는 없으니까. 조금 어설프더라도 초등학생의 시각에서 초등학생의 글솜씨로 풀어낸 세상사란건 가치가 있을 지도 모르지만.
나는 항상 어른스럽게 행동하고, 실수하지 않고, 정제되지 않은 것들이나 완성되지 않은 것들은 감추기에 바빴다. “애어른”이란 소리를 많이 듣고 자랐는데, 어릴땐 칭찬인줄 알았던 그 말이 지금 생각해보면 어딘가 서글프게 느껴진다. 어쩌면 그런 상황에서 초등학생 전준수의 일기는 어린 아이가 마땅히 가져야 할 색을 잃어버린 것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런 영향인지 이제 30대의 정 가운데를 지나고 있는 지금도 나는 여전히 나의 작업물, 나의 창작물, 나의 생각 따위를 누군가에게 공유할 때 항상 큰 두려움과 부끄러움을 느낀다. 내가 알고 있는 것, 내가 만든 것들을 자랑하는 글 따위를 적어보려고 했던 적도 여러번 있었지만 써놓고 다시 읽어보면 부끄러움이 밀려와서 공개할 수가 없었다.
오늘은 (아직은 비공개로 작업하고 있는) bibix라는 빌드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었는데 LinkedBlockingQueue
라는 클래스에 대한 정보가 필요했다. poll
메소드를 호출했을 때 큐에 값이 없으면 큐에 새로운 값이 들어올 때까지 기다렸다 새로운 값이 들어오면 반환한다고 생각하고 구현을 했는데 어째 원하는대로 동작하질 않았다. 자바 스탠다드 API는 문서화가 잘 되어 있어서 보통은 컨트롤 B를 눌러서 해당 코드의 소스코드로 가기만 하면 문서를 바로 볼 수 있지만, 어째 IntelliJ가 LinkedBlockingQueue.class
파일을 디컴파일해서 보여주고 소스코드를 다운받아줄 생각은 아예 하질 않아서 문서를 바로 확인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구글에 검색했더니 잘 정리해둔 블로그가 나왔다. 그런데 블로그 아이콘이 익숙했다. 내가 항상 고맙고 귀엽게 생각하는 동생의 블로그였다.
그 포스팅 말고도 이런 저런 글을 많이 적어놨길래 몇 개를 훑어보았다. 읽은 책에 대한 요약, 개발하면서 알게 된 것, 한 해를 마치면서 회고 남긴 것 등등 꽤나 많은 것들이 쌓여 있었다. 왠지 부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생각해보니 나도 이래저래 쓸만 한 이야기들은 있을 것 같았다. 어차피 평생에 완벽한 창작물만 남길 수 있는게 아니라면 반쯤은 공적이고 반쯤은 개인적인 블로그같은 곳에는 어설프게 이야기를 남겨서 쌓아두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항상 필생의 역작을 써야하는 것도 아니고 혼자 기억하기 위해서라도, 남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거나 즐거움이 되기 위해서라도 그냥 남겨보는것쯤은 괜찮지 않을까?
그래서 이야기해볼만 한 껀지들을 생각해 보았다.
- 개발 이야기
- jparser
- 이 프로젝트는 내가 거의 십년째 해오고 있는 개인 프로젝트다. 지금 깃 리포지토리의 첫 커밋은 2014년 1월로 돼있는데 아마 그 전부터 작업을 했을 것이다. 원래 목적은 자바스크립트 분석기를 만들기 위해서 자바스크립트 파서를 만드는 것이었는데, 파싱이라는 문제가 생각보다 어려운 문제고, 생각보다 개선의 여지도 있어서 하다보니 여기까지 왔다. 지금은 열정적으로 코드를 넣는 상태는 아니지만, 1~2년에 한번씩 한두달쯤 매달려서 빅 피쳐를 하나씩 넣으면서 나름대로 키워왔다. 물론 쓰는 사람은 나밖에 없지만.
- 처음에는 그냥 lex/yacc의 짭을 만들려고 했던 것이었는데 lex와 yacc이 왜 분리되어야 하는지 고민하다보니 CFG와 Regular Grammar를 이용하면 어쩔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아서 결국 내가 Conditional Derivation Grammar, 줄여서 CDG라고 이름붙인 새로운 문법 정의 언어를 만들었다. 지금은 AST(Abstract Syntax Tree) 생성 기능도 추가해서 AST 정의를 포함한 CDG 문법 정의를 넣으면 스칼라로 된 파서가 튀어 나온다. 생성된 파서의 성능이 그다지 시원치는 않지만 그래도 새로운 언어를 개발한다거나 할 때는 제법 쓸 만 하다.
- jparser를 만든 김에 재미로 자바 컴파일러를 만드는 튜토리얼을 써볼까 생각중이다. 물론 어디까지나 재미로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을 염두에 두는 것은 아니다. 그냥 자바 코드를 넣으면 LLVM을 내놓는 컴파일러를 만들고 여기에 llc를 엮어서 “자바->네이티브”를 해주는 컴파일러를 만들면 재밌지 않을까? 그리고 거기에 자바에 없는 기능을 한두개 추가해보면 어떨까? 스트링 인터폴레이션이라던지 data class같은? 시작은 자바 인터프리터 만들기부터 하는게 쉬울지도 모르겠다.
- bibix
- 이건 아직 비공개로 작업하고 있지만 곧 공개할 수 있지 않을까 싶은 빌드 시스템이다. 구글에 입사한 이후로 회사에서 blaze라는 빌드 툴을 (강제적으로) 쓰게 됐는데, blaze는 구글 내부에서 사용하기엔 괜찮은 툴이지만 blaze를 오픈소스화한 bazel은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매우 사용하기가 껄끄러운 툴이었다. blaze가 구글 특유의 단일 리포지토리 소스코드 관리 시스템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흔히 사용되는 maven dependency같은 것들을 잘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착안해서 blaze의 개념을 차용하되 사용성을 높인 빌드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아이디어로 시작한 프로젝트다.
- 전용 빌드 스크립트 언어를 만들었다. 물론 CDG로 정의해서 jparser로 파서를 생성해서 구현하고 있다. 이 언어는 일종의 인터프리터 언어인데 빌드 시스템이라는 특성에 맞게 프로그램이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빌드에 필요한 순서대로 실행된다. 자세한건.. 나중에
- 그 외의 비밀 프로젝트들
- autodb, 댓클럽 등.. 아직은 비밀이지만 언젠가는
- 그동안 다녔던 회사와 지금 직장에 대한 이야기
- 벌써 4년 가까이 지나긴 했지만 구글 면접 얘기도 적어보면 재미 있을 것 같다.
- 그 외에 잡다한 팁이나 단상들을 쌓아봐도 좋겠다
- jparser
- 책 이야기
- 나는 책을 사기는 꾸준히 사지만 많이 읽는 편은 아닌데, 그래도 요새는 나름 꾸준히 조금씩은 읽어서 한달에 두세권정도는 읽는 것 같다. 그런데 대부분의 책을 숙제하듯 읽고(내가 좋아서 읽는 것인데도) 다 읽고나면 덮고 끝이라 별로 기억에 남질 않는다. 읽은 책을 전부 내용 요약을 하거나 할 순 없겠지만 그래도 간략하게 제목이라도 올려두면 좋겠다.
- 앞으로 읽을 책은 앞으로 올리고, 최근에 무슨 책을 읽었고 지금은 뭘 읽고 있는지 생각나는대로 정리해 보았다.
- 성. 프란츠 카프카. 이 책은 고등학교때 국어 선생님이 수업시간에 말씀하셔서 알게 되었다. 선생님이 학생때 이 책을 펴기만 하면 잠이 와서 침대 맡에 놓고 수면제처럼 사용해서 6개월여에 걸쳐서 완독했다고. 완독하니 참 좋은 책이었다 생각하셨다고 했다. 사실 구라를 잘 치시는 분이라 신빙성은 없는 얘기다. 그 얘기를 듣고 십수년간 버킷리스트에 넣어놓고 있다가 이제사 읽었는데 솔직히 말하면 무슨 내용인지 전혀 모르겠다. 미완의 소설인 것을 모르고 읽기 시작했는데 뒤로 갈수록 아직 할 얘기가 많을 것 같은데 남은 페이지가 얼마 안돼서 왠지 싸하더라니 갑자기 끝났다. K는 그래서 어떻게 됐을까?
- 장미의 이름. 움베르토 에코. 고등학교 1학년때 내 옆자리 친구가 꽤 오랜 시간동안 두꺼운 소설 책을 들고 다니면서 짬 날 때마다 읽길래 무슨 책인가 훔쳐봤는데 그게 이 책이었다. 중간 중간 너무 잡설이 길어서 지루하긴 하지만 중세시대를 배경으로 한 추리소설이라는게 참신하긴 하다. 아마 교양이 많은 사람들은 더 재밌게 보겠지. 이 책을 다 읽고 푸코의 진자 3권 세트를 샀는데 어째 도저히 읽혀지지가 않는다. 푸코의 진자는 “성”처럼 될 가능성이 있다.
- 거꾸로 읽는 세계사. 유시민. 나는 중학교 이후로 책을 별로 안 읽어서 청소년 필독서들 중에도 안 읽은 책이 많다. 이 책도 어쩌면 그런 류의 하나일지도 모르겠다. 유시민 아저씨의 책은 읽으면 유식해진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기분이 좋다. 영양가 많은 집밥같은 느낌.
- 트리플 버블. 한상완 조병학. 요새는 또 귀찮아서 안 보지만 한동안 유튜브에서 경제 관련 영상을 많이 봤다. 그 중에 한상완이라는 분이 나와서 말씀하시는 것이 인상적이어서 그 분 책을 찾아서 읽었다. 책의 요지는 코로나가 종식되면 그간 눌려져 있던 소비 심리가 폭발하고, 여기에 코로나로 인해 시장에 풀린 유동성(현금으로 지급된 미국의 재난 지원금 등을 포함한)이 시장에 나오면서 물가가 빠르게 상승하고, 여기에 10년 주기라는 원자재 슈퍼사이클이 겹쳐지면서 물가가 걷잡을 수 없이 폭등하게 된다는 것이다. 물가가 폭등하면 중앙은행은 급격하게 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고, 그러면 역대급으로 크게 형성된 버블이 순식간에 붕괴되면서 전세계적인 대규모 경제 위기가 발생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견문이 짧아서 말투로 사람을 평가하게 되는 내 수준에는 너무 단정적인 태도가 약간은 사기꾼같은 느낌이 들지만 저런 훌륭한 분이 본인 이름을 달고 나오는 책에서 사기를 칠 이유가 뭐 있겠나. 책 앞부분에서는 예측을 하고, 뒷부분에서는 부동산 투자에 관한 팁을 조금 공유해주는데, 읽고 나면 경제에 식견이 높은 선생님과 기분 좋게 술자리를 한 기분이 든다.
- 돈의 비밀. 조병학. 트리플 버블을 재밌게 읽어서 공저자 중 한 분의 책을 더 사서 읽어보았다. 요지는 미국 S&P 500 추종 ETF나 나스닥 100 추종 ETF를 사라는 것. 시간에 여유가 있다면 섹터별로 우량주를 보는 것도 좋다고. 솔직히 돈 주고 사서 보라고 추천하긴 어렵지만 간단하게 읽어볼 만 했다.
- 빚으로 지은 집. 아티프 미안, 아미르 수피. 읽다 말았다. 예전에 어딘가에서 책 소개를 보고 재밌어 보여서 장바구니에 넣어두었다 몇년만에 구매해서 읽는데 너무 경제 논문같아서 읽기 힘들었다. 90페이지쯤 읽고 덮어둔 상태. 부동산 담보 대출이 큰 상태에서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면 경제 전체에 충격이 오는 이유를 설명해주는 부분까지 읽었다. 뒷부분에선 부동산 가격 하락시 빚내서 집 산 사람들의 빚을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는 주장을 한다는데 아직 안 읽어서 확실힌 모르겠지만 감정적으로 공감하긴 어려울 것 같다.
- 노 필터. 사라 프라이어. 존경하는 조슈아께서 페이스북에 소개해주신 걸 보고 찾아 읽은 인스타그램 창업 이야기. SNS가 그냥 만들어지는게 아니다.
- 삼국지. 나관중 이문열 역. 역시 청소년 필독서일텐데 이제야 읽고 있다. 총 10권 중 3권을 읽는 중이다. 조조는 세력을 키우고 있고 세력을 잡았고 유비는 서주를 차지했다. 다른 애들도 뭐 바쁘게 사는 것 같더라. 전체적인 흐름보다는 중간중간의 에피소드들이 재미있었다. 왕윤이 초선을 활용해서 동탁과 여포를 갈라놓는다던가 하는. 이문열을 좋아하진 않는데 제일 유명한 삼국지가 이문열 삼국지라 안전한 선택을 했다.
- 나의 한국현대사 1959-2020, 유시민. 예전에 유시민의 청춘의 독서라는 책을 읽었는데 그 책 한권으로 꽤나 유식해지는 착각이 드는 가성비 좋은 책이었다. 유시민 아저씨가 본인을 “지식 소매상”이라고 표현하던데 이런 의미일런지. 앞서 읽은 거꾸로 읽는 세계사도 비슷한 느낌이어서 한국현대사 책도 읽어보고 있다. 한국사는 조금 더 자세히 들어가도 되지 않았을까 싶은, 너무 겉핥기 느낌인건 조금 아쉽지만 그래도 나같은 무식쟁이에게는 나쁘지는 않다. “청춘의 독서”를 읽은 이후로 거기서 소개해준 죄와 벌, 공산당 선언, 대위의 딸, 광장,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같은 책을 읽었고, 역사란 무엇인가는 그 유명한 “역사란 현재와 과거의 대화다”라는 문장이 나오는 1챕터까지 읽었고(재미 없어서 더는 못 읽겠더라), 전환시대의 논리, 진보와 빈곤같은 책은 사서 언젠간 읽겠거니 하며 책장에 꽂아두었다. “나의 한국현대사”에서도 꽤 많은 책을 참고문헌으로 달아두었는데 이들 중에도 좋은 책들을 찾아서 보면 더 유식해지는 기분이 들겠지.
- The Tyranny of Merit. Michael J. Sandel. 갑자기 책 제목이 영어가 된 것은 영어로 된 책이기 때문이다. “공정하다는 착각”이라는 제목으로 한국어로 번역이 돼서 나온 마이클 샌델의 책인데, 번역 상태가 영 꾸리다는 평이 많아서 영어로 읽어보려고 도전중이다.
- 맨큐의 경제학. 그레고리 맨큐. 경제에 관심이 생겼는데 너무 단편적으로 줏어들은 지식에만 의존하는 것 같아서 기본을 쌓으려고 샀다. 그런데 이런 책은 시간을 정해서 꾸준히 보지 않으면 결국 안 보게 될 것 같아서 계획을 세워보려고 한다.
- 그 외에도 최근에 읽다 만 책이 꽤 있다. 공간 혁명(세라 윌리엄스 골드헤이건), 월스트리트의 내부자들(김정수), 린 스타트업(애시 모리아) 등등..
- 사 놓고 쳐박아 둔 책은 매우 많다.
- 음악 이야기
- 음악에 조예가 깊거나 한 건 아니지만 그래도 좋아하는 음악들이 있다.
- 한때 가장 좋아하는 가수는 이승열이었는데, 노래가 하도 안나와서 이젠 잘 안 듣는다. 이승열이 EBS에서 라디오를 한다기에 들어봤는데 뭔가 라디오 진행자 목소리로는 그다지 듣기 좋은 목소리는 아닌 것 같았다. 호흡이나 발음이 일단 좀 듣기 피곤하더라.
- 가끔 한 가수나 한 앨범에 꽂혀서 같은 앨범을 무한 반복하는 경우가 있다. 브라운 아이드 소울 1, 2집이 그랬고 언니네 이발관 5집이 그랬다. 이 앨범들은 정말 수백번은 들었을거다. 언니네 이발관 6집도 좋다.
- 예전에 카카오 그만두고 한동안 백수이던 시절, 어쩌다 에릭 클랩튼 음악을 듣게 됐는데 마음에 들어서 몇달 내내 에릭 클랩튼 노래만 들었다. 기타 소리가 뭔가 끈적하고 좋다.
- 가끔 일부러 핑크 플로이드같은 (내 기준에서) 이상한 음악들을 찾아 듣는다.
- 인디 밴드들도 가끔 생각나면 듣는다. (인디밴드라고 할 수 있는지 잘은 모르겠지만) 장기하와 얼굴들도 신보 나오면 찾아 들었었고, 브로콜리 너마저도 한창때는 좋아했다. 술탄 오브 더 디스코는 고퀄로 이상한 노래를 만드는 맛이 좋다. 술탄 오브 더 디스코의 베이스가 베이스를 치면서 보컬을 하는 파라솔이라는 밴드의 노래가 불쾌하게 우울해서 한동안 잘 들었다. 최근에는 새소년의 노래를 열심히 들었다. “파도”라는 노래를 처음 들었는데 시작할때 드럼이 너무 멋있고 보컬의 목소리가 독특하고 멋졌다.
- 대학원에 다닐 때는 존 메이어에 빠져서 지냈다. Bigger than my body가 좋아서 듣기 시작했는데 다른 앨범도 전부 다 좋았다. 좀더 기계적인 사운드가 가미된 현대적 노래 위주의 앨범도 있고 미국 블루스스러운 노래 위주의 앨범도 있고 발라드스러운 앨범도 있는데 다 좋다. 최근에도 Rosie라는 노래가 수록된 정규 앨범을 차에서 매일같이 틀어놓고 다녔다.
- 백예린의 Square를 듣다가 정규 1집을 들어봤는데 마음에 들었다. 정규 2집은 더 마음에 들었다. 한동안 일하면서 맨날 백예린 정규 2집만 들었고, 최근에 나온 커버 앨범에서 Antifreeze라는 검정치마 원곡의 노래를 몇백번은 들은 것 같다. See you again도 좋다. 피아노로 뚱땅거려보니 생각보다 멜로디가 쉬워서 신기했다. 이렇게 간단한 멜로디도 이렇게 좋게 들릴 수 있구나 라는 생각.
- 자우림, 아이유, 악뮤 등이 새 노래를 내면 한번씩 들어본다. 항상 좋기는 한데 또 그렇게 오래 듣게 되지는 않는다.
- 한 노래에 꽂혀서 며칠동안 그 노래만 듣고 그 노래만 흥얼거릴 때가 많다.
- 한동안은 이날치 노래(특히 범 내려온다)를 맨날 흥얼거려서 아내가 짜증을 냈다. 한국관광공사 광고가 나오기 전에 애정하는 주호민 아저씨가 유튜브에서 틀어줘서 알게 됐던것 같은데 듣자마자 반해서 친구들한테도 영업을 많이 했다. 이날치 앨범에 있는 노래는 다 좋다. 그런데 그 좋다는게 다른 노래를 들을 때의 좋다와는 상당히 다른 느낌이다.
- 과나라는 유튜버의 망태 할아버지라는 노래도 맨날 흥얼거렸더니 아내가 짜증을 낸 바 있다.
- 요새는 유튜브 뮤직으로 음악을 들으니까 내가 요청하지 않아도 유튜브가 알아서 음악을 추천해준다. 그러다보면 가끔 취향에 맞는 음악들이 걸려 나온다.
- 그로버 워싱턴 주니어의 음악들을 종종 들었는데 그랬더니 비슷한 음악가로 조지 벤슨, 배리 화이트 같은 사람들을 추천해 주더라. 조지 벤슨의 Give me the night, Love X Love 등의 노래를 지겹도록 들었고 배리 화이트 Let the music play가 좋아서 며칠간 열심히 들었다.
- 조지 벤슨의 연주곡들(Affirmation 최고)이 좋아서 자주 들었더니 재즈 음악을 추천해주는데 거슬리지 않아서 일할 때 듣기 좋다.
- 얼마 전에 카페에 갔다가 나오는 노래가 좋아서 검색했더니 Leon Bridges라는 가수의 Forgive you라는 노래였다. 얼핏 존 메이어 생각도 나고 좋았다. 그 노래를 많이 들었더니 유튜브가 블랙 푸마스라는 밴드의 Colors라는 노래를 추천해줬는데 이 노래도 정말 대단하다. 요새 매일같이 듣는 중이다. 라이브 영상이 많아서 여러 버전으로 들어보는 맛이 있다. 같은 밴드의 Oct 33이나 Black moon rising도 매우 좋다. 유튜브가 같이 추천해준 제이콥 뱅크스라는 가수의 Dear Simone이란 노래도 흡입력이 좋았다.
- 예전에는 광고 음악중에 마음에 드는 것들이 있어서 찾아 듣는 경우가 많았다. 현대카드 광고에 나왔던 Bajofondo Tango Club 의 음악이 좋아서 한동안 들었던 기억이 난다.
- 힙합이나 랩은 대체로 다 싫어한다. 고등학교때는 친구가 권해서 에픽하이 1, 2집이나 가리온의 앨범들도 들었고 그땐 좋다고 생각했는데, 시간이 지나니까 더 듣게 되지는 않더라. 패닉의 정류장에서 김진표 파트는 빼고 듣고 싶다.
- 근황
- 2020년 9월에 결혼하고 2021년 9월에 득녀했다. 아기는 오늘로 태어난지 200일이 되었다. 2주쯤 전에 병원에 가서 영유아 검진을 받는데 같은 월령의 여자 아이들 중에서 체중이 상위 7%, 키가 상위 5%라고 한다. 머리 둘레는 (다행히) 평균정도라고. 아픈 곳 없이 잘 자라주니 고마울 뿐이다. 이제 사람도 잘 알아보고 우리가 웃으면 자기도 따라 웃는다. 물건을 집어서 자기쪽으로 당겨갈 줄도 알고, 앉혀놓으면 꽤 오래 자기 허리 힘으로 앉아 있는다. 다리 힘도 꽤 좋아서 겨드랑이를 받쳐주면 얼추 서기도 하지만 아직 균형을 잘 못 잡아서 숭구리당당 숭당당 한다. 이유식을 시작한지 꽤 됐는데 갈수록 잘 받아 먹는다. 이유식을 떠서 입 근처에 갖다 두면 자기가 머리를 앞으로 내밀면서 받아 먹는다. 아기새같고 귀엽다.
- 결혼하고 3개월만에 임신을 해서 아내와의 신혼생활이 짧았다. 코로나때문에 신혼여행도 제대로 못 갔는데 언젠간 갈 수 있을까?
- 영어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그래서 영어 수업도 신청했는데 수업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알 수 없다. 영어 공부에 대한 필요성은 2주 전의 대통령 선거 이후로 점점 더 크게 느끼는 중이다.
이래놓고 보면.. 블로그에 적을 얘기가 꽤 있을지도 모르겠다. 어차피 몇 명 보지도 않을테니 그냥 편하게 적어야겠다.